앞선 4편에서는 이직, 부업, 자격증을 통해 소득을 확장하는 방법을 살펴봤습니다.

저축과 투자 습관이 자리 잡았다면, 결국 더 중요한 건 얼마를 벌어들이느냐였습니다.
하지만 소득을 늘리는 것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증가한 소득과 모은 돈을 어떻게 관리하고, 어떤 시간표로 1억이라는 목표에 다가갈지가 필요하죠.

이번 5편에서는 지금까지 배운 습관과 전략들을 연결해, 5년 단위의 현실적인 로드맵을 정리해보았습니다. 

하나의 예시일 뿐 개인의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자신에게 맞는 로드맵을 짜기를 바랍니다!

1억을 향한 현실 로드맵 세우기


1. 목표는 숫자와 기간으로 구체화해야 한다

막연히 “1억 모아야지”라고 생각하는 것보다,
“매달 120만 원 저축·투자 → 3년 후 4,000만 원 이상, 5년 후 8,000만~1억”처럼 계획을 수치화하면 훨씬 실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핵심은 무리하지 않고 꾸준히 실천할 수 있는 금액을 정하는 것입니다.

아래에서는 5년동안의 기간을 예시로 돈을 모으는 계획을 짜보았습니다.


2. 5년 로드맵 핵심 전략

5년 동안 1억을 만들기 위해서는 단순 저축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저축, 투자, 소득 확장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 저축: 소득의 40~50%를 고정적으로 모으는 습관

  • 투자: 매달 일정 금액을 ETF, 채권, CMA 등으로 분산

  • 소득 확장: 이직으로 연봉을 높이고, 부업으로 매달 추가 수익 확보

1억을 향한 현실 로드맵 세우기


아래는 월 소득 300만 원 수준을 기준으로 한 예시입니다.

항목월 실행 예시5년 누적 효과
저축120만 원7,200만 원
투자40만 원 (ETF·채권)약 600만 원 수익
소득 확장연봉 20% 인상 + 부업 월 30만 원약 1,200만 원
합계약 9,000만~1억 원

👉 상황에 따라 금액은 달라질 수 있지만, 저축·투자·소득 확장이 동시에 굴러가야 

5년 내 1억 달성이 가능합니다.


4. 목표를 유지하는 방법

1억을 향한 현실 로드맵 세우기

중요한 건 계획을 세우는 것보다 꾸준히 점검하고 조정하는 것입니다.
  • 자산 관리 앱(토스, 뱅크샐러드 등)으로 지출과 자산을 통합 관리

  • 가계부나 캘린더에 저축·투자 기록 남기기

  • 매년 소득·소비·투자 성과 점검 → 필요 시 조정

이 습관만 유지하면, 계획이 단순한 목표에 머물지 않고 현실이 됩니다.



5. 1억 이후, 그 다음은?

목표한 1억을 달성했다면, 이제는 단순히 모으는 것을 넘어 자산을 지키고 불리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 비상금(6개월 생활비)은 안전 자산인 예·적금이나 파킹통장에

  • 중장기 자금은 ETF·채권 등으로 분산 투자

  • 장기 자금(주택·은퇴)은 연금, 부동산 투자로 확장

👉 1억은 끝이 아니라, 재테크의 출발점입니다.


《월급으로 1억 만들기》에서 습관 → 구조 → 투자 → 소득 확장 → 로드맵의 흐름으로 

1억을 모는 과정을 알아보았습니다.


앞으로 1억을 향한 길은 각자의 속도는 다르더라도, 방향만은 분명히 정해졌습니다.

돈은 모으는 것이 아니라 관리하는 것이고, 관리하는 습관이 곧 부를 만듭니다.

이제 단순한 의지가 아니라, 실행 가능한 계획을 바탕으로 모두가 목표하는 바를 성취하시기를 응원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