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리 절약해도 돈이 잘 안 모인다”는 고민을 자주 듣습니다.
그럴 때 중요한 건 단순히 지출을 줄이는 게 아니라, 소득 자체를 키우는 방법을 고민해야합니다.
저축률 50%를 유지하더라도 월급이 200만 원인 사람과 400만 원인 사람의 자산 형성 속도는 크게 다릅니다.
따라서 일정 수준의 저축·투자 습관이 자리 잡았다면, 이제는 소득 확장 전략에 집중해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소득의 크기를 키우는 3가지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
소득을 늘리는 기술 (이직, 부업, 자격증) |
1. 이직: 가장 확실한 소득 레버리지
2025년 현재, 국내 평균 임금 인상률은 연 3%에 머물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직을 통해서 연봉을 상승시킬 수 있다면 벌어들이는 소득을 효과적으로 늘릴 수 있습니다.
-
효과: 같은 노동 시간으로 더 높은 보상을 받음
-
전략:
① 경력·직무 역량을 키워 타사 이직 경쟁력 확보
② 업계 연봉 수준 조사 → 현실적 목표 설정
③ 최소 3년 주기 커리어 점검
👉 따라서 회사를 단순히 “오래 다닌다”가 아니라, 더 나은 조건으로 옮긴다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2. 부업: 리스크는 낮추고, 가능성은 넓히기
2020년 코로나 이후로 비대면이 활성화되자 부업 열풍이 불기 시작했습니다.
2025년 현재 부업 시장은 크게 온라인 플랫폼 기반으로 성장했는데,
대표적인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콘텐츠 제작: 블로그, 유튜브, 뉴스레터 운영
-
디지털 판매: 전자책, 온라인 강의, 스마트스토어
-
플랫폼 노동: 배달·퀵서비스, 공유경제(숙소·차량 공유)
![]() |
-온라인 부업 종류- |
부업의 장점:
-
본업에 비해 리스크가 낮음
-
꾸준히 하면 월 20~50만 원 추가 수입 가능
-
경험이 쌓이면 본업 이상의 수익원으로 발전 가능
👉 중요한 건 단기 수익보다는 지속 가능한 사이드 프로젝트를 만드는 겁니다.
유투브, 블로그, 스마트스토어 등을 보며 이 분야는 레드오션이니까 도전을 거부하기보다
조금이라도 자신만의 컨텐츠를 만들어나가는 경험을 쌓아간다면 장기적으로 큰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3. 자격증과 학습: 장기적인 소득 상승 엔진
자격증은 단순히 시험 합격증이 아니라, 경력 전환과 소득 확장의 열쇠가 될 수 있습니다.
-
재무·회계 분야: AFPK, CFA, 세무 관련 자격 → 금융·재무직 이직에 유리
-
IT·데이터 분야: SQLD, ADsP, 클라우드 자격증 → 디지털 전환 기업 수요 증가
-
전문직 자격: 사회복지사, 주택관리사, 공인중개사 등 → 은퇴 후에도 활용 가능
👉 중요한 건 “지금 당장은 필요 없어 보여도, 미래 소득을 높여줄 수 있는 자격”을 선별하는 겁니다.
4. 소득 확장의 3단계 로드맵
단계 | 전략 | 예상 효과 |
---|---|---|
1단계 | 현재 직장에서 연봉 협상 및 이직 기회 탐색 | 단기 소득 상승 |
2단계 | 부업 시작 (월 20~30만 원 추가 수익 목표) | 생활 여유 확보 |
3단계 | 자격증·학습 투자로 커리어 확장 | 장기적 소득 상승 |
소득을 늘린다는 건 단순히 돈을 더 버는 게 아니라, 내 시간을 더 가치 있게 만드는 일입니다.
저축과 투자로 기반을 다졌다면, 이제는 수입 구조를 확장하는 단계로 나아가야 합니다.
다음 5편에서는 “1억을 향한 현실 로드맵 – 3년, 5년 계획 세우기”를 다뤄보겠습니다.
앞에서 배운 습관과 전략들을 구체적인 목표 달성 계획으로 연결하는 단계가 될 것입니다.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