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에 가면 누구나 한 번쯤 들어보는 단어가 있습니다. 바로 예금적금입니다. 두 상품 모두 돈을 안전하게 맡기고 이자를 받는 방식이지만, 구조와 목적이 달라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예금과 적금의 개념부터 차이점, 어떤 상황에서 유리한지까지 초보자도 이해하기 쉽게 정리했습니다.

예금과 적금의 차이



1. 예금이란?

예금은 말 그대로 은행에 일정 금액을 맡기는 것을 뜻합니다.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보통예금: 자유롭게 돈을 넣고 뺄 수 있는 입출금 통장. 이자는 거의 없지만 생활 자금 관리에 편리합니다.

  2. 정기예금: 일정 기간 동안 돈을 맡기고 만기 시 원금과 이자를 돌려받는 방식. 금리가 비교적 높습니다.

즉, 예금은 목돈을 한 번에 맡겨두고 안정적인 이자를 받는 상품이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2. 적금이란?

적금은 흔히 “저축 습관을 기르는 상품”이라고 불립니다.

  • 매달 일정 금액을 은행에 납입하고, 약정 기간이 끝나면 원금과 이자를 받습니다.

  • 대표적으로 정기적금이 있으며, 매달 납입금이 고정되어 있어 꾸준히 저축하기 좋습니다.

적금은 목돈이 없더라도 매월 작은 돈을 모아가는 방식으로, 학생이나 사회 초년생이 시작하기에 적합합니다.


3. 예금과 적금의 차이

구분예금 (정기예금 기준)적금 (정기적금 기준)
납입 방식목돈을 한 번에 맡김매월 일정 금액을 분할 납입
목적자산 보관 및 안정적 이자 수익저축 습관 형성 및 목돈 마련
금리적금보다 다소 낮은 경우 많음예금보다 조금 더 유리한 금리 제공
유동성중도해지 시 이자 손실 발생중도해지 시 원금은 보존되나 이자 축소
대상여유 자금을 가진 사람꾸준히 저축하려는 사회 초년생

4. 어떤 상황에 예금이 좋을까?

  • 목돈이 이미 있다면 정기예금이 유리합니다.

  • 예를 들어, 1,000만 원을 정기예금에 맡기면 안정적으로 이자를 받을 수 있고,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5천만 원까지 보호받을 수 있어 안전합니다.

  • 즉, 예금은 단기적·안정적 운용에 적합합니다.


5. 어떤 상황에 적금이 좋을까?

  • 꾸준히 돈을 모으고 싶을 때는 적금이 더 유리합니다.

  • 매달 30만 원씩 3년간 납입한다면 만기 시 목돈을 마련할 수 있고, 이자까지 더해집니다.

  • 특히 청년 대상 특화 상품(청년희망적금, 청년도약계좌 등)은 정부 지원 혜택이 붙어 이자율이 높습니다.


6. 예금·적금 선택 시 주의할 점

  1. 금리 비교
    같은 예금·적금이라도 은행마다 금리가 다르므로 비교가 필수입니다.

  2. 중도해지 가능성
    약정 기간 중 해지하면 이자를 거의 받지 못할 수 있습니다.

  3. 예금자보호법 확인
    모든 예금과 적금은 1인당 5천만 원까지 보호되므로 초과 금액은 분산하는 것이 좋습니다.


7. 결론

예금과 적금은 모두 안전한 금융상품이지만, 목돈 운용인지, 매월 저축 습관인지 목적에 따라 선택해야 합니다.

  • 여유 자금을 안전하게 굴리고 싶다면 정기예금

  • 꾸준히 목돈을 모으고 싶다면 정기적금

자신의 상황에 맞는 상품을 고르면, 불필요한 위험 없이 안정적으로 자산을 불릴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