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금값이 정말 심상치 않죠.
2025년 들어서 금 시세는 연일 최고치를 갱신하고 있고,
많은 사람들이 ‘지금이라도 금을 사야 하나’ 고민 중입니다.
그런데 막상 금반지나 목걸이를 사려고 보면
3.75g, 18K, 순금, 다이아 포함 등 여러 정보들이 적혀 있어서
이게 진짜 순금 무게가 맞는지 헷갈리는 분들이 많아요.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 3.75g 금 제품에 순금은 얼마나 들어있는지
▶️ 보석이 포함된 경우 어떻게 계산하는지
▶️ 금 투자 시 꼭 확인해야 할 포인트
이렇게 3가지를 중심으로 쉽게 알려드릴게요!
🔍 3.75g 금, 전부 순금 무게일까요?
❌ 대부분은 ‘아니요’입니다.
금 제품에 표기된 3.75g은 제품 전체 무게입니다.
여기에는 금 외에도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포함돼요:
-
합금(은, 구리 등)
-
보석(다이아몬드, 큐빅 등)
-
도금 처리된 표면
-
기타 부자재 (장식, 잠금장치 등)
따라서 표기된 무게를 보고
“3.75g짜리면 3.75g의 금이 있겠지!” 라고 생각하면
실제보다 훨씬 많은 금이 들어있다고 착각할 수 있습니다.
🧮 진짜 순금 무게는 이렇게 계산해요
금의 실제 순금 함량은 ‘순도(K 수)’에 따라 달라집니다.
가장 흔한 18K 제품은 금이 75% 함유돼 있다는 뜻이에요.
✅ 공식: 실제 순금 무게(g) = 총 중량(g) x 순도(%)
예시) 3.75g 18K 금반지라면
3.75g × 0.75 = 2.8125g
즉, 이 반지에는 약 2.8g 정도의 순금만 들어 있습니다.
나머지 약 0.94g은 은이나 구리 같은 합금, 혹은 장식용 재료죠.
▶️ 참고로,
-
24K = 순금 99.9% 이상
-
18K = 금 75% + 기타 금속 25%
-
14K = 금 58.5% + 기타 금속 41.5%
K 수가 낮을수록 금 함량이 적고, 투자보단 장신구 용도에 가깝습니다.
💎 보석이 붙은 금 제품은 더 조심!
다이아몬드나 진주, 큐빅 등이 붙어 있는 금 제품은
보석의 무게도 금중량에 포함되어 표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예를 들어:
-
3.75g짜리 반지에 0.5캐럿 다이아가 붙어 있다면,
다이아 무게는 약 0.1g 정도 → 실제 금 무게는 더 줄어듦
또한 큐빅이나 진주는 상대적으로 가볍지만,
제품에 여러 개 들어가면 무시 못할 무게가 되죠.
그래서!
보석이 붙은 제품은 반드시
▶️ 보석 무게와 금 무게를 구분해서 확인해야 정확한 가치 평가가 가능합니다.
📈 금값은 왜 이렇게 오를까요?
2025년 현재 금값이 고공행진 중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세계 경제 불확실성
-
미국의 금리 인하 기조, 유럽 경제 둔화, 아시아 경기 정체 등
글로벌 경제가 불안정할수록 금은 안전자산으로 수요가 늘어납니다.
2. 인플레이션 우려
-
물가 상승률이 높아지면 현금의 구매력은 떨어지게 되고,
사람들은 가치가 유지되는 실물자산, 즉 금을 찾게 됩니다.
3. 디지털 금 투자 확산
-
최근엔 증권앱(Toss, 카카오페이 등)에서도 금 투자가 가능해졌고,
KRX 금시장을 통해 금을 실시간으로 사고팔 수 있어 진입장벽이 낮아졌습니다.
✅ 금 투자할 때 꼭 체크해야 할 것들
금 제품을 살 때, 그냥 “예쁘다” “무게 많다”만 보지 마세요.
진짜 투자 목적이라면 다음 사항을 꼭 확인해야 합니다.
체크포인트 | 설명 |
---|---|
💬 금 중량 | 보석 포함 무게인지, 순금 무게만인지 구분 필요 |
💬 순도 | 24K(순금)인지, 18K인지 확인 필수 |
💬 공임 & 수수료 | 디자인 제품일수록 제작비와 마진이 포함돼 있음 |
💬 재매입 가능성 | 되팔 때 감정과 무게 차이로 손해볼 수도 있음 |
💬 거래처 신뢰도 | 한국금거래소, KRX 등 공신력 있는 곳 추천 |
💡 참고로,
투자 목적이라면 보석 없는 순금 골드바 또는
KRX 금시장 거래가 가장 효율적인 선택입니다.
📱 진짜 금 무게, 어떻게 알 수 있나요?
금중량을 정확하게 확인하고 싶다면 다음 방법을 추천드립니다:
1. 전자저울 활용
-
0.01g 단위 정밀 저울이 가장 정확
-
가정용도 있지만, 정확도를 위해 보석용 저울 추천
2. 감정원에 의뢰
-
보석이 포함된 제품은 한국귀금속감정원 등에 의뢰하면
금 무게와 보석 가치를 명확히 알 수 있어요.
3. 전용 앱 활용
-
‘한국금거래소’ 앱 또는
‘한국조폐공사 골드바 인증’ 기능 등을 활용해
제품 무게, 순도, 시세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요.
💬 자주 묻는 질문 정리 (Q&A)
Q1. 3.75g이라고 써 있으면 다 금인가요?
A. 아니요! 대부분의 금 제품은 보석, 합금 등 포함된 총무게입니다.
Q2. 순금 무게는 어떻게 계산하나요?
A. [총 중량(g)] × [순도 비율(%)]로 계산하면 돼요.
예: 3.75g × 0.75 (18K) = 2.8125g
Q3. 투자용 금은 어디서 사는 게 좋을까요?
A. 보석 없는 골드바, KRX 금시장,
혹은 한국조폐공사 인증 골드 제품이 안정적입니다.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