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2025년 국가직 7급 공무원 시험은 PSAT 중심의 구조 개편으로 수험 전략이 완전히 바뀌었습니다.
높아진 합격선, 줄어든 선발인원, 상승한 경쟁률, 과목별 출제 변화까지 철저히 파악해야 실전에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7급 공무원 시험 일정, 직렬별 선발 인원 및 경쟁률, 1차 PSAT 합격선, 직렬별 커트라인 예측, 실전 전략까지 모두 알아보겠습니다.
![]() |
2025년 7급 국가직 공무원 시험 일정·경쟁률·합격선 |
1. 2025년 7급 시험 일정
구분 | 일정 |
---|---|
원서접수 | 5월 12일(월) ~ 5월 16일(금) |
1차 시험(PSAT) | 7월 19일(토) |
1차 합격자 발표 | 8월 20일(수) |
2차 시험(전공 필기) | 9월 20일(토) |
2차 합격자 발표 | 10월 30일(목) |
면접시험 | 11월 24일(월) ~ 11월 27일(목) |
최종 합격자 발표 | 12월 12일(금) |
국가직 7급 시험은 3단계 전형으로 이루어집니다.
1차는 PSAT, 2차는 전공 필기, 3차는 면접으로, 일정이 7월부터 12월까지 이어지는 장기전입니다.
1차 PSAT은 7월 19일에 실시되며, 필기 합격 여부는 8월 20일 발표됩니다. 이어지는 전공 필기 시험은 9월 20일이며, 최종 합격자 발표는 연말인 12월 12일입니다.
2. 시험 과목 및 주요 변화
단계 | 과목 | 특징 |
---|---|---|
1차 | PSAT (언어논리, 자료분석, 상황판단) | 영어·한국사 검정시험으로 대체됨 |
2차 | 전공 필기 (직렬별 4과목) | 일반행정: 헌법, 행정법, 행정학, 경제학 |
3차 | 면접 | 인성 + 공직 가치관 평가 |
1차 PSAT에서는 언어논리, 자료해석, 상황판단의 세 과목을 평가하며, 영어와 한국사는 검정시험(TOEIC, 한국사능력검정 2급 등)으로 대체됩니다.
![]() |
-PSAT 시험 종류- |
2차 전공 필기는 직렬별 전공 4과목이 출제되며, 특히 일반행정직은 헌법·행정법·행정학·경제학의 조합으로 고난도 문제들이 출제됩니다.
3차 면접은 공직 가치관과 인성 중심의 평가로, 단순 암기보다 지원자의 태도와 직무 적합성이 더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2-2. 영어·한국사 검정시험 기준
구분 | 인정 시험 | 기준 점수 | 유효기간 |
---|---|---|---|
영어 | TOEIC | 700점 이상 | 2년 |
TEPS(신텝스) | 340점 이상 | 2년 | |
TOEFL(iBT) | 71점 이상 | 2년 | |
G-TELP(Level 2) | 65점 이상 | 2년 | |
FLEX | 625점 이상 | 2년 | |
한국사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국사편찬위원회) | 2급 이상 | 제한 없음 |
원서 접수 시점에 반드시 기준 성적을 취득하고 있어야 하며, 미충족 시 원서 자체가 무효 처리됩니다.
응시 전 반드시 성적표 제출 방식, 성적 유효기간, 점수 기준을 다시 한 번 확인하세요!
3. 직렬별 선발인원 및 경쟁률
직렬 | 선발인원 | 경쟁률 |
---|---|---|
일반행정 | 153명 | 50.6:1 |
공업_전기 | 6명 | 78.3:1 |
공업_화공 | 6명 | 53.3:1 |
일반농업 | 7명 | 43.6:1 |
인사조직 | 미공개 | 131:1 |
검찰 | 미공개 | 112.6:1 |
교육행정 | 미공개 | 100.8:1 |
2025년 총 선발 인원은 595명이며, 총 지원자는 26,511명으로 평균 경쟁률은 약 44.6:1였습니다.
특히 인사조직직(131:1), 검찰직(112.6:1), 교육행정직(100.8:1) 등 행정직 인기 직렬은 경쟁이 매우 치열합니다.
기술직 직렬 중에서는 공업_전기(78.3:1), 화공(53.3:1) 등이 상대적으로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습니다.
따라서 지원 시, 선발 인원과 지원자 수의 비율을 고려한 직렬 선택 전략이 중요합니다.
4. 1차 PSAT 합격선
직군 | 평균 합격선(예상) | 전년 대비 변화 |
---|---|---|
전체 평균 | 약 86.47점 | ▲ 9.44점 |
행정직군 | 88.45점 | ▲ 7.12점 |
과학기술직군 | 83.66점 | ▲ 12.88점 |
PSAT의 평균 합격선이 전년 대비 크게 상승했습니다.
2025년 전체 평균은 86.47점으로, 특히 과학기술직군은 83.66점으로 12.88점 상승, 시험 적응력이 크게 올라갔음을 보여줍니다.
행정직군은 88.45점으로 가장 높은 평균선을 기록했으며, 실수 하나가 합격/불합격을 가를 수 있는 수준을 보였습니다.
이러한 상승세는 PSAT의 문제 유형 적응, 사교육 강화, 응시자 고득점 집중 등 복합 요인에서 비롯되었으며, 철저한 실전 훈련과 시간 배분 연습이 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
5. 직렬별 예상 합격 커트라인
직렬 | 합격컷(예측점수) | 비고 |
---|---|---|
일반행정 | 약 92점 | 인기 직렬, 상위권 필요 |
세무 | 약 70점 | 비교적 낮은 커트라인 |
교육행정 | 약 93점 | 경쟁률 매우 높음 |
고용노동 | 약 92점 | 직무 적합성 중요 |
우정직 | 80점대 예상 | 중위권 점수 가능 |
통계직 | 약 75점 | 실수 관리 중요 |
예상 커트라인은 선발인원, 경쟁률, 시험 난이도 등을 종합 분석한 결과입니다.
가장 경쟁이 치열한 일반행정직과 교육행정직은 90점 이상이 필수이며, 세무직이나 통계직은 비교적 낮은 점수로도 합격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점수만으로는 판단할 수 없고, 응시 인원 분포나 특정 과목 난이도도 커트라인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항상 최상위 기준으로 대비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6. 실전 대비 전략
(1) PSAT
PSAT은 암기력보다는 실전 문제 해결 능력을 요구합니다.언어논리는 논리력과 독해력을, 자료해석은 연산 속도와 시각화 능력을, 상황판단은 추론 능력을 평가합니다.
모든 과목에서 시간 배분과 문제 전략이 핵심이며, 단 한 문제 차이가 실제 합격에 영향을 주니 많이 풀어보며 문제에 익숙해져야합니다!
(2) 전공필기
전공 필기는 직렬에 따라 과목 구성과 난이도가 달라, 기출 중심의 반복 훈련과 개념 정리가 요구됩니다.
(3) 면접
면접은 공직 가치관, 태도, 조직 적합성을 평가하므로 단순한 형식 암기보다는 자기 경험과 지원 동기를 스토리텔링으로 연결하는 연습이 중요합니다.7급 공무원 시험은 변화된 출제 방식과 높아진 합격선으로 인해 그 어느 때보다 치밀한 전략과 체계적인 준비가 요구되는 시험입니다.
하지만 이는 동시에 제대로 준비한 수험생에게는 더욱 명확한 기회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이제는 단순 암기나 운에 의존할 수 없습니다. 탄탄한 기초 실력과 실전 대응 능력을 갖춘 수험생만이 최종 합격의 기회를 잡을 수 있습니다.
7급 공무원 합격, 철저한 준비로 반드시 이루어내시기를 응원합니다!
0 댓글